본문 바로가기

[개발] 프로그래밍/etc.6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EAI란?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란 기업 내부의 다양한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을 통합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간의 관계와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근간을 이루는 트랜잭션 네트워크를 관리해 주는 개념을 의미한다. 즉, 기업에서 운영하는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나 DB, OS와 같은 백엔드 소프트웨어에 관계없이 비지니스 프로세스 차원에서 통합하는 솔루션을 말한다. EAI를 도입하게 되면, 고객관계관리 시스템, 인트라넷, 각종 데이터 등을 동일한 플랫폼(인터넷)을 통해 기존 어플리케이션의 변화 없이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EAI의 목적 1. 데이터의 통합 여러 시스템의 정보가 일관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2. 벤더 독립성 어플리케이션에서 비.. 2023. 8. 28.
CDC (change data capture) 란? 현재 차세대에서 사용 중인 솔루션 중에서 처음 접하는 솔루션을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CDC (change data capture) 란 데이터베이스 내 데이터에 대한 변경을 식별해 변경된 데이터만 타킷DB에 데이터 전송 및 공유하는 기술을 말한다. 즉, 변경된 데이터만 골라내는 기술을 말한다. 해당 기술을 사용하게 되면 데이터 추출, 전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통적인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방법 CDC를 사용하게 된 이유를 언급하기 전, 과거에는 어떻게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였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Import(가져오기)·Export(내보내기)이다. 각 DBMS제품이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유틸리티를 활용하여 Export를 수행.. 2023. 7. 30.
네이비즘 티켓팅 실패이유? 뮤지컬, 콘서트 등등 티켓팅을 할때마다 찾게되는 사이트가 바로 "네이비즘" 사이트일 것이다. 해당 사이트를 이용하면서 어떻게 해당 사이트의 서버시간을 가져오고, 어느 정도의 오차를 가지고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한번쯤 해보게 되었다. 0. 시간정보 가져오기 생각해보면 서버의 시간정보를 가져오는 건 쉬운 작업이다. 단순히 시간정보를 얻고자하는 사이트에 아무요청이나 주게 되면 해당 사이트는 그에따른 응답을 주는데 그 응답안에 중즉, response Headers 안에 Date라는 정보와 함께 응답을 준다. fetch('https://time.navyism.com').then(r => {console.log(r.headers.get('Date'));}); 실제 콘솔에서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Date에 대한 정보.. 2023. 6. 25.
Kafka Kafka를 도입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처음 들어본 시스템이자, 데이터 관련 시스템은 처음 접해 보기 때문에 간단한 개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cf. 데브원영 - 아차피 카프카 강의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waw0XXNX-uQ) 1. 카프카란? 카프카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설명으로는, 고성능 데이터 파이프, 스트리밍 분석, 데이터 통합 및 미션 클리티컬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오픈 소스 분산 이벤트 스트리밍 플랫폼이라고 한다. 간단히 말해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때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를 Source Application, 데이터를 전송받는 주체는 Target Application이라 할 때, 각 SA와 TA는 단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한.. 2023. 3. 20.